서울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건 여전히 쉬운 일이 아닙니다.
출산이라는 큰 선택 뒤에는 이사, 전세, 대출, 월세 같은 현실적인 고민이 따라오니까요.
서울시는 바로 이 부분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월 최대 30만 원씩, 2년에서 최대 4년까지 서울에 계속 머물 수 있도록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1.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올해 상반기(1월 1일~6월 30일) 사이에 자녀를 출산한 가구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기본 조건
- 신청일 기준, 부 또는 모가 서울시에 거주 중일 것
- 출생한 자녀가 서울시에 출생신고 되었을 것
-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 (입양은 기준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내 가능)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4인 가구 기준 연소득 약 1억 3천만 원 이하) - 타 주거지원 정책을 받고 있지 않을 것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생아 특례대출 등)
주거 조건
- 무주택자일 것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가 아닐 것
- 전세보증금이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보증금 환산액이 130만 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할 것
예를 들어, 전세 1.5억 원에 월세 60만 원이라면 월세 환산액까지 더해도 130만 원 이내이므로 신청 가능합니다.
2. 어떤 혜택이 주어지나요?
- 월 최대 30만 원의 주거비를 6개월 단위로 분할 지급
- 기본 2년 지원, 이후 추가 출산이나 다태아일 경우 최대 4년까지 연장 가능
예를 들어,
- 첫째 출산: 기본 2년
- 둘째 출산: 1년 연장
- 셋째 출산: 추가 1년 → 총 4년 지원
- 쌍둥이 출산: 기본 2년 + 1년 연장
- 세 쌍둥이 이상: 2년 + 2년 연장
지급 방식은 ‘선지출, 사후지급’입니다.
실제로 납부한 전세대출 이자나 월세를 증빙하면 그 금액(월 최대 30만 원 한도)을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3. 신청은 언제, 어떻게 하면 되나요?
신청기간
- 2025년 5월 20일(월) ~ 7월 31일(목)
신청방법
서울시의 임신·출산·육아 통합 플랫폼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신청하러 가기
몽땅정보 만능키
umppa.seoul.go.kr
제출서류 (온라인 제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전세금 입금내역 or 월세이체증
- 가족관계증명서 (부·모 각 1부)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 확인서
4. 지원금은 언제 받게 되나요?
모든 서류 검토가 끝난 뒤, 2025년 12월에 6개월분(1회 차)이 첫 지급됩니다.
이후 매 6개월마다 주거비 납부 내역을 제출하면 추가 지급이 이어집니다.
5. 꼭 체크해야 할 조건들
- 무주택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주택 구입, 서울 외 이사 등 발생 시 지원이 중단됩니다. - 청약에 당첨돼 분양권이 생겨도, 잔금 납부 전까지는 지원 유지됩니다.
- 소득 확인은 행정정보공동이용을 통해 자동으로 이뤄지며, 별도 소득서류 제출은 필요 없습니다.
6. 신청 전, 나도 해당되는지 빠르게 확인해 보세요
- 서울시에 거주 중인가요?
- 올해 1~6월 사이 아이를 낳았나요?
- 무주택이며 공공임대에 살고 있지 않나요?
- 전세 또는 월세 조건이 기준 이내인가요?
- 다른 주거 지원정책 수혜자는 아니신가요?
모두 해당된다면, 신청 자격이 충분합니다.
핵심만 정리해 드릴게요
항목 | 내용 |
대상 | 서울 거주 무주택 가구 중, 2025년 상반기 출산자 |
금액 | 월 최대 30만 원 (최장 4년) |
방식 | 선지출, 사후지급 (6개월 단위 분할 지급) |
신청 | 2025.5.20 ~ 7.31 |
신청처 |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 |
마무리 한마디
출산 후 가장 흔한 고민 중 하나는
"이 동네에서 계속 살 수 있을까?"입니다.
서울시는 이제, 그 물음에 실질적인 답을 내놓았습니다.
부모의 주거 걱정을 덜어주고, 아이의 삶터를 지켜주는 정책.
지금 이 혜택, 놓치지 마세요.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서울시 어린이 안경 할인쿠폰 신청방법 | 초등학생 이하 자녀라면 꼭 확인하세요 (2) | 2025.05.21 |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신청방법 | 소득 적어도 받을 수 있는 최대 330만 원 현금지원 (2) | 2025.05.16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 행사 안내 (2025년 5월~9월까지) (1) | 2025.05.15 |
2025 경기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 신청 대상, 꾸러미 혜택, 신청 방법 총정리 (2) | 2025.05.14 |
2025 서울시 무료 치매검사 일정 총정리 | 60세 이상 어르신 대상 자치구별 조기검진 안내 (2) | 2025.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