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과 출산, 기쁘기도 하지만 그만큼 준비해야 할 것도 많죠.
특히 먹거리만큼은 더 신경 쓰이는데, 경기도에서 임산부에게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배송해주는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총 40만 원 상당의 유기농 먹거리를 정기 배송받을 수 있는 기회!
신청 가능한 시군, 대상 조건, 신청 방법까지 이 글에서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경기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이란?
간단히 말해, 경기도에 거주 중인 임산부를 위해 친환경농산물과 유기가공식품을 정기적으로 보내주는 복지 지원입니다.
산모 혼자 힘든 시기, 식단 관리까지 덜어줄 수 있는 실속형 정책이죠.
- 지원 금액: 1인당 40만 원
→ 이 중 32만 원은 경기도 지원, 8만 원은 본인 부담 - 구성 품목: 친환경 채소, 과일, 유기가공식품 등
→ 한 달 최대 4번까지 원하는 날짜에 받을 수 있어요
2.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 현재 임신 중인 임산부
(임신확인서, 산모수첩, 출생증명서 등으로 증빙 가능)
👉 주의할 점도 있어요.
- 다태아(쌍둥이 이상)라도 1회만 지원
- 동일 자녀에 대해 임신 중과 출산 후 두 번 신청은 불가
→ 자녀 1명당 1번만 신청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3. 신청할 수 있는 지역과 기간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2일(월) 오전 9시 ~ 5월 30일(금) 오후 6시까지
- 신청 가능한 시·군 (23곳)
수원, 용인, 고양, 화성, 성남, 부천, 안산, 안양, 파주, 김포, 하남, 광명, 군포, 이천, 안성, 구리, 의왕,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 이미 신청 마감된 지역 (8곳)
남양주, 평택, 시흥, 의정부, 광주, 오산, 포천, 양주
👉 지역별 예산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가능하면 서두르시는 게 좋아요.
4.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온라인, 오프라인 둘 다 가능합니다.
① 온라인 신청
- 아래 링크로 접속해 로그인 후 신청서 작성!
📌 경기민원24에서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② 오프라인 신청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 임신·출산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지참하고 신청서 제출하면 됩니다.
5. 준비해야 할 서류는?
행정정보로 확인 가능한 항목
-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직접 제출이 필요한 경우 (혹은 외국인 등 특수 상황)
-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공동이용 미연계 시)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 출산증명서나 가족관계증명서
- 외국인등록증 또는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서
- 지방세 관련 서류 등
👉 혹시 모르니 온라인 신청 시 파일 첨부 항목을 꼭 확인하세요.
6. 궁금한 점, 미리 확인해보세요! (FAQ)
Q. 출산을 앞둔 임산부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임신 확인만 가능하면 바로 신청하실 수 있어요.
Q. 쌍둥이를 출산했는데 두 번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쉽게도 1인 1회 원칙이라 다태아라도 1번만 가능합니다.
Q. 마감된 지역은 다시 열릴 가능성이 있나요?
A. 대부분 조기 마감은 예산 소진 때문이라 가능성은 낮지만,
혹시 추가 예산이 배정된다면 다시 열릴 수도 있어요. 다만, 공식 공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7. 문의는 어디로 하면 될까요?
- 경기도 콜센터: 031-120
-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관할 보건소에서도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한마디
출산과 육아, 매 순간이 낯설고 벅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든든한 정책이 있다는 걸 알고 있으면, 마음도 한결 가벼워지죠.
지원 가능 지역에 거주 중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먹거리 걱정 덜 수 있는 기회,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
경기민원행정서비스 상세 :: 2025년 경기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span style="font-size:16px;"><span style="font-family:맑은 고딕;">❍ 신청대상 : '2024. 1.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또는 신청일 현재 임신부<br /> (임신확인서, 출생증명서, 산모수첩 등을 통해
gg24.gg.go.kr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자녀장려금 신청방법 | 소득 적어도 받을 수 있는 최대 330만 원 현금지원 (2) | 2025.05.16 |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 행사 안내 (2025년 5월~9월까지) (1) | 2025.05.15 |
2025 서울시 무료 치매검사 일정 총정리 | 60세 이상 어르신 대상 자치구별 조기검진 안내 (0) | 2025.05.13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가 매달 30만 원을 저축해준다고? (0) | 2025.05.10 |
2025 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 신청방법 및 자격 총정리 (서울 거주 청년은 꼭 확인!) (1) | 2025.05.09 |
댓글